본문 바로가기
100년전 오늘

역사 속의 오늘, 1925년 5월 15일: 국내외 주요 사건들

by mknowledge 2025. 5. 15.
728x90
SMALL

1. 1925년 5월 15일 구정홍 사망 사건과 중국 5·30 운동의 시작

530 운동 사진
5·30 운동

1925년 5월 15일은 중국 현대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된 날로, 상하이에서 발생한 한 노동자의 죽음이 전국적인 반제국주의 투쟁으로 발전하는 기폭제가 되었습니다. 이 날 상하이의 일본계 직물공장에서 중국인 노동자 구정홍이 일본군 수비대의 총격으로 사망했으며, 이 사건은 이후 중국 전역에서 대규모 시위와 파업으로 확산된 5·30 운동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단순한 노동쟁의를 넘어 중국 민족주의 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되었으며, 당시 국제사회에도 큰 반향을 일으켰습니다.

1.1 사건의 배경과 당시 상하이의 상황

1925년 당시 중국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열강들의 영향력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부적으로는 군벌 시대의 혼란을 겪고 있었습니다. 특히 상하이는 외국 열강들이 지배하는 조계(租界)가 설치된 도시로, 중국인들이 자국 내에서도 차별받는 상황이었습니다.

1925년 2월부터 중국 내 일본계 방적 공장에서는 일본인 감독이 중국인 여공을 학대한 사건을 계기로 노동분쟁이 시작되었습니다. 일본계 공장 노동자들은 하루 12시간을 쉬는 시간 없이 일해야 했으며, 매우 적은 임금을 받았고 신체적 학대도 일상적으로 받고 있었습니다.

1.2 구정홍의 죽음과 사건 경위

구정홍(顧正紅)은 1905년 장쑤성 푸닝(현재 빈하이현) 출신으로, 1921년 고향에서 수해를 당한 후 어머니와 함께 상하이로 이주했습니다. 그는 1922년 일본계 내외면(內外綿) 9공장에서 청소부로 일했다가 해고된 후, 7공장에서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1924년 구정홍은 중국 공산당에서 운영하는 노동자 보습학교에 참여하게 되었고, 후에 공산당에 가입하여 노동운동 활동가가 되었습니다.

1925년 5월 14일, 내외면 12공장에서 두 명의 노동자를 해고한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노동자들이 5명의 대표를 선출해 항의했지만, 일본 관리자들은 이들을 경찰에 신고하여 체포되게 했고, 이에 노동자들이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5월 15일 아침, 중국 공산당원 류화(刘华)가 상하이 서부 노동자 친목회에서 각 공장 노동자 대표들과 회의를 열었습니다. 이 회의에서 7공장이 직물공장으로서 12공장의 실을 사용해야 하는데, 12공장이 파업 중이므로 7공장 노동자들이 계속 일하면 일본 자본가들에게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전략이 논의되었습니다.

그러나 5월 15일 오전, 내외면 7공장은 원자재 부족을 이유로 공장 문을 닫고 노동자들의 출입을 금지했습니다. 이에 구정홍은 노동자들을 이끌고 돌로 공장 문을 부수고 진입했으며, 자기 방어를 위한 도구로 "타슬 막대기"를 가져왔습니다. 내외면 부사장 모토키와 7공장 일본인 관리자 가와무라 센잔이 총을 꺼내 노동자들을 진압하려 하면서 충돌이 발생했습니다. 가와무라는 구정홍의 다리를 쏘았고, 구정홍이 나무를 붙잡고 계속 노동자들을 격려하자 그의 머리를 두 발 더 쏘았습니다.

심각한 부상을 입은 구정홍은 위위안루에 있는 미국 성공회가 운영하는 동인병원으로 이송되었지만, 5월 16일 오후 2시에 과다출혈로 사망했습니다.

1.3 5·30 운동으로의 발전과 영향

구정홍의 죽음은 중국 전역에 분노의 물결을 일으켰습니다. 5월 24일, 상하이에서는 1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탄쯔완 공터에서 구정홍을 추모하는 공제(公祭) 대회를 열었습니다.

이후 상황은 급속도로 악화되어, 5월 30일 상하이의 난징루(南京路)에서 체포된 학생들의 석방과 불평등 조약에 의한 조계 반환을 요구하는 시위가 벌어졌습니다. 영국 경찰은 인도인 경관을 시켜 시위대를 향해 발포했고, 이로 인해 13명이 사망하고, 15명이 부상, 53명이 체포되었습니다. 이 사건은 "5·30 참안(慘案)" 또는 "상하이 학살"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5·30 사건 이후 중국 공산당의 지도하에 상하이 총공회가 6월 1일 설립되었고, 6월 초부터 8월 말까지 총파업이 이어졌습니다. 이 운동은 중국 전역으로 퍼져 약 30개 도시에서 연대 시위가 벌어졌으며, 전국적으로 약 1,700만 명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공산당은 이 기회를 활용해 "제국주의 타도", "불평등한 조약 폐지", "중국에서의 외국군 철수", "죽은 동포에 대한 복수" 등의 구호를 내세우며 반제국주의 운동을 주도했습니다. 당시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5월 28일, 30일, 31일 세 차례에 걸쳐 상하이에서 긴급회의를 열고 학생들의 거리 시위와 각 계층의 반제국주의 운동 참여를 촉구했습니다.

2. 사건의 역사적 의의

1925년 5월 15일 구정홍의 죽음으로 시작된 일련의 사건은 중국 현대사에서 여러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1. 민족주의의 고양: 1919년 5·4 운동이 서구의 '민주'와 '과학'을 배우자는 지식인 중심의 운동이었다면, 1925년 5·30 운동은 노동자가 중심이 된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운동이었습니다.
  2. 노동운동의 발전: 이 사건은 중국 노동운동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상하이 총공회의 설립과 대규모 파업을 통해 노동자들의 조직적 힘을 보여주었습니다.
  3. 공산당 영향력 확대: 중국 공산당은 이 운동을 통해 대중적 지지를 얻게 되었으며, 당원 수가 수백 명에서 2만 명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
  4. 국제적 영향: 이 사건은 영국에서 "Hands Off China(중국에 손대지 마라)" 시위와 같은 국제적 연대 움직임을 불러일으켰습니다.

1925년 5월 15일의 사건은 단순한 노동분쟁을 넘어, 중국인들의 민족의식을 고양시키고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구정홍의 희생은 중국 노동운동사와 항일운동사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있으며, 이후 발생한 5·30 운동은 중국 공산당이 주도한 최초의 대규모 애국운동으로 중국 혁명의 중요한 초석이 되었습니다.

3. 결론

1925년 5월 15일 구정홍의 죽음은 표면적으로는 한 노동자의 비극적인 죽음이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중국의 반제국주의 투쟁과 민족해방운동의 새로운 장을 여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 사건이 촉발한 5·30 운동은 노동자, 학생, 상인 등 다양한 계층이 참여한 전국적인 항의로 발전했으며, 중국인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우고 제국주의에 대한 저항을 강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구정홍의 희생은 오늘날까지도 중국 노동운동과 민족해방운동의 상징으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5.14 - [100년전 오늘] - 역사 속의 오늘, 1925년 5월 14일: 국내외 주요 사건들

 

역사 속의 오늘, 1925년 5월 14일: 국내외 주요 사건들

역사 속의 오늘, 1925년 5월 14일: 국내외 주요 사건들1925년 5월 14일은 일제강점기 한국과 전 세계에서 다양한 사건과 변화가 있었던 시기의 한 날입니다. 비록 정확히 5월 14일 당일의 특정 사건은

mknowledge.tistory.com

 


 

 

728x90
LIST